본문 바로가기
network

"이 연결은 현재 비공개 상태입니다." | VPN 이란?

by j.sanghyuk 2025. 3. 15.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VPN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마 꽤 많은 사람들이 VPN을 한 번씩은 들어봤거나 사용해봤을 것이다.

그 정도로 VPN 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접속 불가능한 사이트를 접속할 때, 학교 등의 와이파이에서는 접속이 막혀있는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로 사용했을 것이다.

 

VPN 이란?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이란, 사용자가 사설망에 연결된 것처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보안 서비스 이다. 

VPN 을 사용하면 인터넷 통신이 암호화 되고, 강력한 익명성이 보장된다.

한마디로 공용 전화기를 혼자 비밀로 사용하는 거라고 말할 수 있다.

 

VPN 의 원리

보통의 인터넷 연결은 매우 공개적이다. 사용자가 인터넷 연결(웹 사이트에 방문하는 등...)을 생성하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연결되고, ISP가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적절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모든 과정은 노출되므로 공격자가 중간에서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VPN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인터넷에 연결하는 사용자에 대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VPN 연결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VPN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설치한 VPN 소프트웨어)는 암호화된 연결을 통해 ISP 에 요청을 보낸다.
  2. ISP 가 VPN 클라이언트를 VPN 서버에 연결하여 암호화된 연결을 유지한다.
  3. VPN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여 인터넷에 연결하여 암호화 되지 않은 통신으로 웹 서버에 엑세스한다.
  4. VPN 서버는 VPN 클라이언트와의 암호화된 연결을 생성하고, 이것을 "VPN 터널" 이라고 한다.

VPN 클라이언트와 VPN 서버간의 통신에서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 되므로 사용자의 활동을 확인할 수 없다.

 

VPN 의 용도

VPN 을 사용한 불법적이고 부적절한 연결이 많지만, VPN 을 사용해야 할 정당한 이유 또한 많다.

  • 공용 Wi-Fi 로부터의 보호 : 주로 카페나 공공장소 등에 설치된 free wifi 를 이용해본 경험이 많을 것이다. 이때 wifi 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이 암호화 되지 않으며, 다른 사용자가 엑세스 한다면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 검열로부터의 자유 : 일부 기관이나 국가에서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검열하는 경우가 있다. (OTT 서비스에서 특정 콘텐츠가 검열되어 없는 경우, 학교에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등...) 이때 VPN 을 사용한다면 해당 기관이나 국가에서 검열하는 콘텐츠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 위치 익명성 : VPN 을 사용하면서 본인의 위치가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미국, 독일, 싱가포르 등..) 이 또한 위치에 따라 제한되는 콘텐츠가 있을 수 있으므로 VPN 을 통해 위치 변경 및 익명성을 제공한다.

VPN 의 단점

VPN 을 사용하여 위 같은 장점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에 따른 단점 또한 존재한다.

  • 인터넷 속도 저하 : VPN 을 사용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보다 인터넷이 느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 이다. VPN 을 사용하여 통신하면 통신을 암호화 한 후 라우팅 하므로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무료 VPN : 신뢰되지 않는 무료 VPN 을 사용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위의 속도 저하 문제 또한 무료 VPN 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VPN 을 연결했을 때의 모든 통신은 VPN 서버를 통해 전달되므로 VPN 공급자는 인터넷 상에서 무엇을 하는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보안 취약점 : VPN 을 사용하더라고 malware 설치, 사회공학적 해킹 등에는 여전히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총총

항상 VPN 을 사용해오기만 했지만, 이번에 VPN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하면서 VPN의 원리,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TLS | HTTP vs HTTPS  (0) 2025.03.21
TCP / IP 4 계층 이란?  (0) 2025.03.17
DNS 중독!!!! 🤢🤢  (0) 2025.03.13
OSI 7 계층이란? [네트워크 이론]  (0) 2025.03.12
홍재무 강사님 강의 요약 및 후기  (0)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