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2023. 8. 20. 12:08·network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 간단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치 연결하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스위치와 PC 2대를 연결합니다.

왼쪽 하단의 End Deviceds - PC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작업 공간에 등록합니다.

그리고 Network Devices - Switches - PT Switch 를 작업 공간에 드래그 하여 등록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을 위해 Connections-Automatically Chose Connection Type 을 선택한 후 PC0을 클릭하고 Switch 0으로 드래그해 연결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PC1 도 연결합니다. 화면에 녹색 삼각형이 뜨면 잘된것 입니다.

IP 주소 설정하기

IP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지 않고 직접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C0을 클릭한후 Desktop-IP Configuration 을 클릭하고 IPv4 Address 부분에 192.168.15.201을 입력합니다. 입력하면 Subnet Mask 부분에 자동으로 255.255.255.0이 표시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PC1 도 IPv4 Address를 192.168.15.202 로 설정합니다.

연결 확인하기

IP 주소 설정을 마치고 PC1을 클릭한 후 Desktop-Command Prompt 를 선택하면 PC의 명령 프롬포트 창과 동일한 창이 열립니다. 다음과 같이 ping 192.168.15.202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연결되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치 연결하기

이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라우터로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종적인 네트워크는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일단 PC에 IP Address 와 Default Gateway IP Address 를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장치 IP Address Default Gateway IP Address
PC0 192.168.15.201 192.168.15.200
PC1 192.168.15.202 192.168.15.200
PC2 192.168.16.201 192.168.16.200
PC3 192.168.16.202 192.168.16.200

그리고 Router0 을 클릭하여 Config-GigabitEthernet0/0을 클릭하고 IPv4 Address에 192.168.15.200 을 입력하고, Port Status에 On을 체크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GigabitEthernet0/1 부분의 IPv4 Address도 192.168.16.200 으로 바꿔줍니다.

 

연결 확인하기

PC0 에서 tracert 를 통해 패킷이 라우터를 지나 PC3에 연결되는지 확인하여 이상이 없다면 라우터를 이용한 두 네트워크의 연결을 성공한 것입니다.

 

끝!!
이 글은 네트워크 해킹과 보안(4판)을 참고하였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추적!??!?!??!?!?!? 🥵🥵  (4) 2023.08.29
DNS가 뭐에요? ^_____^  (0) 2023.08.28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계층) (⊙_⊙;)  (0) 2023.08.20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프로토콜) ¯\_(ツ)_/¯  (0) 2023.08.17
네트워크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7.27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P 주소 추적!??!?!??!?!?!? 🥵🥵
  • DNS가 뭐에요? ^_____^
  •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계층) (⊙_⊙;)
  •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프로토콜) ¯\_(ツ)_/¯
j.sanghyuk
j.sanghyuk
  • j.sanghyuk
    보안의 유망주 정상혁
    j.sanghyuk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2)
      • network (15)
      • system (3)
      • web (1)
      • Dreamhack (1)
      • OS (5)
      • CA (7)
      • GSM (3)
      • 지방기능경기대회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DNS
    TCP
    네트워크 엑세스
    dreamhack
    secure socker layer
    linux
    Shell
    Security
    osi 7계층 이란?
    사이버보안
    우분투
    dns 중독
    회고록
    script
    UDP
    기능경기대회
    tcp/ip 4 계층
    기능대회
    리눅스
    GSM
    ai-ing-ping
    OSI 7계층
    네트워크
    시스템
    dns 캐시 중독
    드림핵
    OS
    linux Shell script
    transport layer secure
    Network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j.sanghyuk
시스코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